찾아가는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전국 소통의 장 마련 - 에너지정보문화재단,「제1차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지역 순회설명회」 대전 지역 개최 - |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원전소통지원센터(센터장 노동석, 이하 재단))는 9월 26일 대전 KW컨벤션 아이리스홀에서 고준위방사성폐기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소통을 위한 「제1차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지역 순회설명회」를 개최했다.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와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 공동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 재단이 주관한 이번 설명회는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의 필요성과 관리 원칙, 관리기술 개발 현황과 최신 해외사례에 대한 정보를 지역에 직접 찾아가 설명하고 의견을 듣기 위한 장으로 마련되었다.
설명회는 대전 지역을 시작으로 부산(10월 11일), 대구(10월 17일), 서울(10월 24일), 광주(11월 1일) 까지 권역별 총 5개 지역에서 순차적으로 진행하며, 전문가와 국민들이 함께 모여 의견을 나누고 더 나은 혜안을 모색하는 자리이다.
1차 대전지역 설명회에서‘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현황 및 특별법 주요내용’을 발표한 이재학 한국원자력환경공단 고준위사업본부장은“원전 내 보관 중인 사용후핵연료가 2030년 한빛원전을 시작으로 각 원전이 순차적 포화시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어 별도의 관리시설 확보가 시급하다”며 고준위 특별법 제정 필요성을 설명했다. 이어“고준위방폐장 확보는 국가가 해결해야 할 필수 과제이자 원자력 발전의 혜택을 누린 현 세대의 당연한 책무”라고 강조했다.
두 번째 주제‘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원칙 및 해외사례’에서 백민훈 한국원자력연구원 후행원자력기술연구소 소장은“국내 사용후핵연료 보관량은 전 세계 총 보관량 301,300톤의 약 5.6% 수준으로 미국, 캐나다, 러시아, 일본에 이어 세계 5위 규모로 국민 1인당 부담해야 하는 사용후핵연료의 양은 366g 수준”이라고 밝혔다. 백 소장은“대부분의 해외 국가들이 1980년대부터 40년 이상 법제도 정비를 통해 차근차근 준비하여 부지 선정 후 방폐장 건설 또는 운영을 앞두는 성과를 거두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지난 2012년과 2016년 정책 수립 이후 특별법 제정 실패로 부지 선정을 위한 기초 작업도 착수하지 못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기술 개발현황 및 계획’을 발표한 손희동 (재)사용후핵연료관리핵심기술개발사업단 사업기획팀장은“영구처분시설 건설에 앞서, 국내 지질 조건에 최적의 처분시스템 개발 및 성능 실증을 위해 별도의 연구부지에 연구용 지하연구시설(URL)을 운영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기술 로드맵과 관련하여 2021년 12월에 수립한「제2차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기본계획」에 따른 관리시설 마련을 위해 단계별 필요기술의 적기 확보를 추진하는 등 미래 세대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관리기술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진 질의응답 시간에서는 발표주제와 관련된 질문뿐만 아니라 국민들이 평소 궁금해 한 고준위방사성폐기물에 관한 궁금한 사항들을 해소하는 시간을 가졌다.
설명회를 주관한 재단의 노동석 원전소통지원센터장은“기후변화 대응과 첨단산업 발전을 위해 재생에너지와 원자력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히고, “우리나라의 첨단기술력과 수십 년 간의 건설·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세계의 탄소중립 시대를 맞아 세계 에너지리더 역할이 기대되고 있는 가운데, 아직 해결하지 못한 고준위방사성폐기물에 대한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이번 설명회가 올바른 정보를 바탕으로 지금 우리가 무엇을 보완해야 하는지 직시하고, 국민 모두와 해결방안을 찾아가는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