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전선로에서 나오는 전자파, 정말 인체에 유해할까?
송전선로 전자파에 관한 오해와 진실
송전선로 전자파에 관한 오해와 진실
Q 전자파, 우리 일상생활 속에는 없다?
전기가 있는 곳에는 반드시 전자파가 있습니다.
가정에서 전기제품을 사용할 때 등
일상생활 속에서도 전자파는 발생합니다.
송전선로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는 TV, 청소기, 헤어 드라이기 등
전기제품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작습니다.
전기가 있는 곳에는 반드시 전자파가 있습니다.
가정에서 전기제품을 사용할 때 등
일상생활 속에서도 전자파는 발생합니다.
송전선로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는 TV, 청소기, 헤어 드라이기 등
전기제품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작습니다.
Q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발암가능 물질로 분류하였기 때문에 유해하다?
국제암연구소(IARC)에서는 극저주파
전자계(=송전선로 전자파)의 발암등급을 2B 등급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2B 등급은 역학적 및 동물실험 결과상
그 증거가 충분하지는 않지만 발암 가능성을 고려하는 물질로
오이피클, 젓갈, 고사리 등도 해당됩니다.
참고로 보통 의사들이 발암물질로 생각하는 단계는
2B 등급보다 높은 2A 등급 이상입니다.
국제암연구소(IARC)에서는 극저주파
전자계(=송전선로 전자파)의 발암등급을 2B 등급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2B 등급은 역학적 및 동물실험 결과상
그 증거가 충분하지는 않지만 발암 가능성을 고려하는 물질로
오이피클, 젓갈, 고사리 등도 해당됩니다.
참고로 보통 의사들이 발암물질로 생각하는 단계는
2B 등급보다 높은 2A 등급 이상입니다.
Q 소아백혈병 발생의 원인이 된다?
국제보건기구(WHO)는 1996년부터 2007년까지
12년간 8개 국제기구 및 국제협력 연구기관이 참여한 동물실험,
세포실험, 역학연구 등을 통해 극저주파 자계(=송전선로 전자파)와
소아백혈병의 관계에 대한 근거가 미약하다고 발표했으며,
서울대 등 국내에서도 1,000명의 소아백혈병-대조군 실험 결과
전자파와 발병 사이에 연관성이 없다고 결론지었습니다.
국제보건기구(WHO)는 1996년부터 2007년까지
12년간 8개 국제기구 및 국제협력 연구기관이 참여한 동물실험,
세포실험, 역학연구 등을 통해 극저주파 자계(=송전선로 전자파)와
소아백혈병의 관계에 대한 근거가 미약하다고 발표했으며,
서울대 등 국내에서도 1,000명의 소아백혈병-대조군 실험 결과
전자파와 발병 사이에 연관성이 없다고 결론지었습니다.
남은 궁금증은 한전의 '전자파 정보제공 플랫폼'에서!
한전은 송전선로 전자파에 대한 국민들의 오해를 바로잡고,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전자파 정보제공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송전선로 전자파에 대한 오해와 진실! '전자파 정보제공 플랫폼'에서 만나 보세요.
한전은 송전선로 전자파에 대한 국민들의 오해를 바로잡고,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전자파 정보제공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송전선로 전자파에 대한 오해와 진실! '전자파 정보제공 플랫폼'에서 만나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