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1.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자파가 인체에 해롭다? A1.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자파 세기는 인체 보호 기준에 적합 태양광 발전소의 전자파 세기는 정부 안전기준의 1% 수준으로 흔히 사용하는 생활가전기기의 전자파 세기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태양광 인버터 전자파 발생량은 3kW:7.6mG, 전자레인지는 29.21mG라는 사실!' 태양광 발전소 주변 전자파 세기 - 측정지점 : 전자파 세기 [mG) - 인버터 실외 : 1.03~10.59 - 태양광 모듈 : 1.03~2.23 - 인근 농장 : 0.9~2.2 *인버터실 외부 벽면에서 1~3m, 태양광 모듈 주변 1m 거리 측정 정부의 전자파 인체 보호 기준:833mG² *주파수 범위 0.025 kHz~0.8kHz 기준 전자파 세기 비교(생활가전기기 vs 태양광 인버터) - 휴대용 안마기 : 110.75 - 전기오븐 : 56.41 - 전자레인지 : 29.21 - 태양광 인버터 [3kW] : 7.6 - 인덕션 : 6.19 - 전기장판 : 5.18](https://e-policy.or.kr/upload/editor/13afa233-5e1b-403d-ae2f-7cf21365d103.jpg)
![Q2. 태양광 발전설비의 빛 반사가 눈부심을 유발한다? A2. 태양광 발전 설비의 빛 반사율은 유리 반사율보다 적다 많은 전기 생산을 위해 태양광 모듈 제작 시 빛 반사는 최대한 줄이고, 흡수율은 높이는 코팅기술 적용 중 '태양광 모듈 빛 반사율은 5~6%, 유리의 빛 반사율은 7.48%입니다' 빛 반사율 비교 [유리 vs 태양광모듈) - 강화유리 : 7.48 - 태양광모듈 [단결정 실리콘 모듈 : 5.03] / [다결정 실리콘 모듈 : 6.04] ▶ 모듈 제작 시 빛을 잘 흡수할 수 있는 특수유리를 사용하며, 모듈 표면의 반사방지 코팅기술을 적용해 반사율을 최소화하고 있음](https://e-policy.or.kr/upload/editor/56fdc18b-ce72-4f15-b422-ab6c263e26b1.jpg)




![출처 <3P> 태양광 발전소 주변 전자파 세기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태양광 발전소 전자파 환경 조사 연구 미래창조과학부고시 제2013-118호 전자파 세기 비교 국립전파연구원, 생활 속 전자파 [주]EMF Safety, 생활가전기기 및 휴대전화 전자파의 안전이용 가이드라인 개발연구에 관한 연구 <4P> 빛 반사율 비교 Clean Energy Results (미국 매사추세츠 에너지자원부·환경보호부·친환경센터, 2015.6) 태양광발전시스템 고장과 민원 발생 유형(한국태양광발전학회, 2015.6) <5P> 태양광 발전설비 주변 환경 영향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태양광 발전소의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 조사·분석 태양광발전시스템 고장과 민원 발생 유형(한국태양광발전학회, 2015.6) <6P> 태양광 모듈 세척 토양 오염 영향 Clean Energy Results (미국 매사추세츠 에너지자원부·환경보호부·친환경센터, 2015.6) <7P> 수상태양광 수질오염 영향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수상태양광 발전사업 현황과 정책적 고려사항(2015.12) 환경영향평가법 제22초 및 제43조 수상태양광발전사업 환경성평가 협의지침(2016.12)](https://e-policy.or.kr/upload/editor/f988a59b-31a2-4d52-9abb-fdbe2e9db296.jpg)
태양광 발전 진실 혹은 거짓
- 빛 반사
- 전자파
- 환경오염
- 빛 반사
- 전자파
- 환경오염
태양광 발전에 대한 궁금증 5가지
Q1 태양광 발전설비 전자파가 인체에 해롭다?
Q2 태양광 발전설비의 빛 반사는 눈부심을 유발한다?
Q3 태양광 발전설비가 주변 환경에 피해를 준다?
Q4 태양광 모듈 세척으로 주변 토양과 지하수가 오염된다?
Q5 수상태양광 설치는 수질오염 등의 환경문제를 유발한다?
'태양광 발전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알려 드릴게요!'
Q1 태양광 발전설비 전자파가 인체에 해롭다?
Q2 태양광 발전설비의 빛 반사는 눈부심을 유발한다?
Q3 태양광 발전설비가 주변 환경에 피해를 준다?
Q4 태양광 모듈 세척으로 주변 토양과 지하수가 오염된다?
Q5 수상태양광 설치는 수질오염 등의 환경문제를 유발한다?
'태양광 발전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알려 드릴게요!'
Q1.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자파가 인체에 해롭다?
A1.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자파 세기는 인체 보호 기준에 적합
태양광 발전소의 전자파 세기는 정부 안전기준의 1% 수준으로
흔히 사용하는 생활가전기기의 전자파 세기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태양광 인버터 전자파 발생량은 3kW:7.6mG, 전자레인지는 29.21mG라는 사실!'
태양광 발전소 주변 전자파 세기
- 측정지점 : 전자파 세기 [mG)
- 인버터 실외 : 1.03~10.59
- 태양광 모듈 : 1.03~2.23
- 인근 농장 : 0.9~2.2
*인버터실 외부 벽면에서 1~3m, 태양광 모듈 주변 1m 거리 측정
정부의 전자파 인체 보호 기준:833mG²
*주파수 범위 0.025 kHz~0.8kHz 기준
전자파 세기 비교(생활가전기기 vs 태양광 인버터)
- 휴대용 안마기 : 110.75
- 전기오븐 : 56.41
- 전자레인지 : 29.21
- 태양광 인버터 [3kW] : 7.6
- 인덕션 : 6.19
- 전기장판 : 5.18
A1.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자파 세기는 인체 보호 기준에 적합
태양광 발전소의 전자파 세기는 정부 안전기준의 1% 수준으로
흔히 사용하는 생활가전기기의 전자파 세기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태양광 인버터 전자파 발생량은 3kW:7.6mG, 전자레인지는 29.21mG라는 사실!'
태양광 발전소 주변 전자파 세기
- 측정지점 : 전자파 세기 [mG)
- 인버터 실외 : 1.03~10.59
- 태양광 모듈 : 1.03~2.23
- 인근 농장 : 0.9~2.2
*인버터실 외부 벽면에서 1~3m, 태양광 모듈 주변 1m 거리 측정
정부의 전자파 인체 보호 기준:833mG²
*주파수 범위 0.025 kHz~0.8kHz 기준
전자파 세기 비교(생활가전기기 vs 태양광 인버터)
- 휴대용 안마기 : 110.75
- 전기오븐 : 56.41
- 전자레인지 : 29.21
- 태양광 인버터 [3kW] : 7.6
- 인덕션 : 6.19
- 전기장판 : 5.18
Q2. 태양광 발전설비의 빛 반사가 눈부심을 유발한다?
A2. 태양광 발전 설비의 빛 반사율은 유리 반사율보다 적다
많은 전기 생산을 위해 태양광 모듈 제작 시 빛 반사는 최대한 줄이고, 흡수율은 높이는 코팅기술 적용 중
'태양광 모듈 빛 반사율은 5~6%, 유리의 빛 반사율은 7.48%입니다'
빛 반사율 비교 [유리 vs 태양광모듈)
- 강화유리 : 7.48
- 태양광모듈 [단결정 실리콘 모듈 : 5.03] / [다결정 실리콘 모듈 : 6.04]
▶ 모듈 제작 시 빛을 잘 흡수할 수 있는 특수유리를 사용하며, 모듈 표면의 반사방지 코팅기술을 적용해 반사율을 최소화하고 있음
A2. 태양광 발전 설비의 빛 반사율은 유리 반사율보다 적다
많은 전기 생산을 위해 태양광 모듈 제작 시 빛 반사는 최대한 줄이고, 흡수율은 높이는 코팅기술 적용 중
'태양광 모듈 빛 반사율은 5~6%, 유리의 빛 반사율은 7.48%입니다'
빛 반사율 비교 [유리 vs 태양광모듈)
- 강화유리 : 7.48
- 태양광모듈 [단결정 실리콘 모듈 : 5.03] / [다결정 실리콘 모듈 : 6.04]
▶ 모듈 제작 시 빛을 잘 흡수할 수 있는 특수유리를 사용하며, 모듈 표면의 반사방지 코팅기술을 적용해 반사율을 최소화하고 있음
Q3. 태양광 발전설비가 주변 환경에 피해를 준다?
A3. 실증조사 결과 주변 환경 의 피해는 미확인
태양광 발전소 주변 축사와 인근 지역 조사 시
가축 체중 변화, 스트레스 호르몬 검사, 일조량, 대기 온·습도에 대한
조사결과는 일반지역과 특이한 차이점이 없었어요
일조량, 자외선 대기 온·습도 변화를 비교한 결과 일반지역과 태양광 발전소 주변 축사 간 특이한 차이점 없었음
열화상 촬영 결과 인접 지역 간 특이한 온도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음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체중 변화, 스트레스 호르몬 검사 등을 관찰한 결과 발전소 인근의 동물과 일반지역의 동물 사이에 특이한 차이가 없었음
태양광 발전소의 환경 영향은 미약하기 때문에 독일 Bavaria에서는 가축들을 태양광 발전설비 주변에 방목하여 태양광 발전과 양들과의 공생으로 발전수익 이외에 추가적인 축산수익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음
A3. 실증조사 결과 주변 환경 의 피해는 미확인
태양광 발전소 주변 축사와 인근 지역 조사 시
가축 체중 변화, 스트레스 호르몬 검사, 일조량, 대기 온·습도에 대한
조사결과는 일반지역과 특이한 차이점이 없었어요
일조량, 자외선 대기 온·습도 변화를 비교한 결과 일반지역과 태양광 발전소 주변 축사 간 특이한 차이점 없었음
열화상 촬영 결과 인접 지역 간 특이한 온도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음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체중 변화, 스트레스 호르몬 검사 등을 관찰한 결과 발전소 인근의 동물과 일반지역의 동물 사이에 특이한 차이가 없었음
태양광 발전소의 환경 영향은 미약하기 때문에 독일 Bavaria에서는 가축들을 태양광 발전설비 주변에 방목하여 태양광 발전과 양들과의 공생으로 발전수익 이외에 추가적인 축산수익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음
Q4. 태양광 모듈 세척으로 주변 토양 및 지하수가 오염된다?
A4. 모듈 세척은 자연적 빗물 또는 지하수·수돗물을 사용
태양광 발전소에선 먼지로 인한 전기 생산량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빗물 또는 지하수 수돗물을 이용해 먼지를 세척합니다
▶ 태양광 모듈 세척을 위해 빗물 또는 지하수·수돗물을 이용하고 있어 모듈 세척에 따른 주변 토양 및 지하수 오염 위험은 거의 없음
▶ 태양광 모듈은 밀폐되어 있고 표면에는 유해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공기, 물 등에 오염물질이 유출되지 않음
A4. 모듈 세척은 자연적 빗물 또는 지하수·수돗물을 사용
태양광 발전소에선 먼지로 인한 전기 생산량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빗물 또는 지하수 수돗물을 이용해 먼지를 세척합니다
▶ 태양광 모듈 세척을 위해 빗물 또는 지하수·수돗물을 이용하고 있어 모듈 세척에 따른 주변 토양 및 지하수 오염 위험은 거의 없음
▶ 태양광 모듈은 밀폐되어 있고 표면에는 유해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공기, 물 등에 오염물질이 유출되지 않음
Q5. 수상태양광 설치는 수질오염 등의 환경문제를 유발한다?
A5. 실증조사 결과 수상태양광 주변 수질 및 생태계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왔어요
정부의 수상태양광 주변 수질 및 퇴적물 분석 결과 수질오염은 발생되지 않았어요.
또한 수상태양광 설치 시 환경영향평가 등을 통해 수질오염, 사고 예방 등을 엄격히 관리하고 있어요
▶ 수상태양광 주변 환경 분석 결과, 일반지역과 생활환경 기준 항목에서 큰 차이가 없었으며 조사 수치는 퇴적물 오염평가 기준보다 낮아 수상태양광 설치에 따른 환경적 영향이 매우 미미한 것으로 분석됨
▶ 정부는 수상태양광 발전사업 착공 전 환경영향평가 등을 실시하여 입지선정, 수질 및 수생태계 영향, 시설 안정성, 경관 영향 등을 철저히 검토하고 있음
A5. 실증조사 결과 수상태양광 주변 수질 및 생태계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왔어요
정부의 수상태양광 주변 수질 및 퇴적물 분석 결과 수질오염은 발생되지 않았어요.
또한 수상태양광 설치 시 환경영향평가 등을 통해 수질오염, 사고 예방 등을 엄격히 관리하고 있어요
▶ 수상태양광 주변 환경 분석 결과, 일반지역과 생활환경 기준 항목에서 큰 차이가 없었으며 조사 수치는 퇴적물 오염평가 기준보다 낮아 수상태양광 설치에 따른 환경적 영향이 매우 미미한 것으로 분석됨
▶ 정부는 수상태양광 발전사업 착공 전 환경영향평가 등을 실시하여 입지선정, 수질 및 수생태계 영향, 시설 안정성, 경관 영향 등을 철저히 검토하고 있음
우리의 내일을 밝힐 재생에너지!
태양광 발전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에너지 대전환의 시작입니다!
태양광 발전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에너지 대전환의 시작입니다!
출처
<3P>
태양광 발전소 주변 전자파 세기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태양광 발전소 전자파 환경 조사 연구
미래창조과학부고시 제2013-118호
전자파 세기 비교
국립전파연구원, 생활 속 전자파
[주]EMF Safety, 생활가전기기 및 휴대전화 전자파의 안전이용 가이드라인 개발연구에 관한 연구
<4P>
빛 반사율 비교
Clean Energy Results (미국 매사추세츠 에너지자원부·환경보호부·친환경센터, 2015.6)
태양광발전시스템 고장과 민원 발생 유형(한국태양광발전학회, 2015.6)
<5P>
태양광 발전설비 주변 환경 영향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태양광 발전소의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 조사·분석
태양광발전시스템 고장과 민원 발생 유형(한국태양광발전학회, 2015.6)
<6P>
태양광 모듈 세척 토양 오염 영향
Clean Energy Results (미국 매사추세츠 에너지자원부·환경보호부·친환경센터, 2015.6)
<7P>
수상태양광 수질오염 영향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수상태양광 발전사업 현황과 정책적 고려사항(2015.12)
환경영향평가법 제22초 및 제43조
수상태양광발전사업 환경성평가 협의지침(2016.12)
<3P>
태양광 발전소 주변 전자파 세기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태양광 발전소 전자파 환경 조사 연구
미래창조과학부고시 제2013-118호
전자파 세기 비교
국립전파연구원, 생활 속 전자파
[주]EMF Safety, 생활가전기기 및 휴대전화 전자파의 안전이용 가이드라인 개발연구에 관한 연구
<4P>
빛 반사율 비교
Clean Energy Results (미국 매사추세츠 에너지자원부·환경보호부·친환경센터, 2015.6)
태양광발전시스템 고장과 민원 발생 유형(한국태양광발전학회, 2015.6)
<5P>
태양광 발전설비 주변 환경 영향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태양광 발전소의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 조사·분석
태양광발전시스템 고장과 민원 발생 유형(한국태양광발전학회, 2015.6)
<6P>
태양광 모듈 세척 토양 오염 영향
Clean Energy Results (미국 매사추세츠 에너지자원부·환경보호부·친환경센터, 2015.6)
<7P>
수상태양광 수질오염 영향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수상태양광 발전사업 현황과 정책적 고려사항(2015.12)
환경영향평가법 제22초 및 제43조
수상태양광발전사업 환경성평가 협의지침(2016.12)